본문 바로가기
초등과학

[과학상식]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무엇이 다를까?

by movie_luv 2022. 2. 19.
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주 들어봤어도 정확하게는 알지 못하는 과학상식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코로나19(covid19) 바이러스가 팬데믹 감염으로 확산된 지 만 2년이 지났습니다. 온 인류가 코로나로 인해 힘든 시간을 겪고 있는데요. 어서 코로나19의 고통이 끝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코로나19는 바이러스의 일종입니다. 간혹 바이러스와 세균을 헷갈릴 수 있는데, 바이러스와 세균은 서로 다른 것입니다. 그렇다면 박테리아는 무엇일까요? 박테리아는 세균과 같은 것입니다.

 

현미경을 통해 박테리아를 처음 발견한 과학자가 박테리아의 모습이 막대 모양이라서 '작은 막대'라는 뜻의 그리스어 'bakteria'라고 이름을 지었습니다. 세균은 한자말입니다. 세균과 박테리아는 같은 것이죠.

 

 

그럼 세균(박테리아)와 바이러스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세균은 지구의 역사와 함께 한 생물입니다. 아주 작고 가장 많이 번성한 생명체입니다. 세균은 땅이나 물, 공기 등과 같은 외부환경과 사람의 몸속 위나 장 등의 신체기관 등에서 살아가는 아주 작은 단세포 생물입니다. 한마디로 살아있는 것이죠. 세균(박테리아)은 사람 몸속에 있을 때만 존재하는 게 아니라 땅이나 물 등에도 존재합니다.

 

세균 중에 유명한 것들은 콜레라균, 대장균, 파상푼 균 등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바이러스는 무엇일까요?

 

인류가 바이러스를 발견한 건 19세기 후반으로 바이러스와 인류가 서로 알게 된 지 많은 시간이 지나지 않았습니다. 바이러스가 발견되기 전에 과학자들은 사람 몸에 병을 일으키는 작은 미생물은 오직 세균 밖에 없다고 생각했는데, 세균보다 뭔가 더 작은 전염성 병원체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네덜란드의 식물학자이면서 미생물학자였던 마르티누 베이에링크가 'virus'라는 용어를 처음 도입하기 시작했습니다.

 

바이러스는 세균과 달리 생명체이면서 무생물체입니다.

바이러스는 단독으로 증식할 수 없으며 오직 숙주 감염 이후에만 증식합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사람 몸속에 들어오기 전에 책상이나 의자 등 물건에서 몇 시간 정도 살아있을 수 있지만, 살아있는 숙주에게 들어가지 않는 한 금방 죽습니다. 반면에 사람이나 동물 등 숙주에 들어가면 바이러스는 생명체가 되어 증식하고 진화도 하고 돌연변이를 발생하기도 합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사람 몸을 숙주 삼아서 살다가 다른 사람들을 숙주로 삼아 전염되고, 델타, 오미크론 등의 돌연변이가 발생하기도 하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세균(박테리아)와 바이러스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로 인해 날마다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는데, 모두들 코로나 조심하시고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댓글